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Jenkins 구축기
    CI-CD 2025. 8. 13. 21:14

    요즘 사무실에서 이것저것.. 잡다하게 넓은 영역에 대해서 커버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여러프로젝트를 배포할일이 많습니다.

    이전에는 그렇게 바쁘지 않았어서 호스트에 접근해서 pull 받고 하나하나 배포했는데 이제는... 여력이 없습니다.

     

    목마른 자가 우물을 파듯이 자동배포가 있어야겠다 마음 먹었지요.

     

    우선 jenkins를  docker-compose.yaml로 작성했습니다.

     

    version: "3.9"
    
    services:
      jenkins:
        image: jenkins/jenkins:lts
        container_name: jenkins
        restart: unless-stopped
        privileged: true
        user: root
        ports:
          - "8080:8080"   # 웹 UI
          - "50000:50000" # 에이전트 통신 포트
        volumes:
          - jenkins_home:/var/jenkins_home
          -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 /usr/bin/docker:/usr/bin/docker
        networks:
          - jenkins_net
    
    volumes:
      jenkins_home:
    
    networks:
      jenkins_net:
        driver: bridge

     

    저의 경우  yaml의 위치는 /opt/cicd/docker-compose.jenkins.yaml 로 만들었습니다. (조만간 Nexus도 같은 경로에 컨테이너로 만들 예정이랍니다.)

    주요 포인트

    • jenkins_home 볼륨: Jenkins 데이터 영구 저장
    • /var/run/docker.sock 마운트: Jenkins에서 Docker 컨테이너 제어 가능

     

    docker compose -f docker-compose.jenkins.yaml up -d

    이제 컨테이너를 구동해줍니다. 

     

    http://{ip}:8080. 로 접속하셔서 초기 셋팅 하시고 로그인 하라고 나올겁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초기 비밀번호를 모르죠??

    docker exec -it jenkins cat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

    위 명령어로 컨테이너 접근해서 초기 비밀번호 확인해서 로그인 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까지 하면  jenkins 자체 설치는 끝이 납니다. 쉽죠??? 다음번엔 파이프라인 구축하는 글로 찾아오겠습니다.

    댓글

#dev-ha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