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버네티스 (k8s) 워커노드 추가하기Server 2025. 6. 5. 17:00
저번에 단일노드로 쿠버네티스를 설정했습니다. 그렇게 계속 사용할 순 없고 슬슬 노드를 추가해야겠지요...?
그리하여!
이번엔 사무실에 셋팅해놓은 추가적인 서버를 워커노드로 추가해보겠습니다. 추가하려는 노드들도 이전과 비슷한 작업을 우선 거쳐야 합니다. 모든 명령어는 워커노드에서 실행시켜주시면 됩니다.
1. swap 메모리 비활성화
sudo swapoff -a sudo sed -i '/ swap / s/^/#/' /etc/fstab
2. 커널 모듈 활성화
sudo modprobe overlay && sudo modprobe br_netfilter
3. 아이피(IP) 설정 파일
# /etc/sysctl.d/99-k8s.conf net.bridge.bridge-nf-call-iptables = 1 net.ipv4.ip_forward = 1 net.bridge.bridge-nf-call-ip6tables = 1
/etc/sysctl.d/ 경로에 만들어주면 됩니다.
sudo sysctl --system
그리고 나서 적용되게 해주시면 되구요.
4. Containerd Install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y containerd sudo mkdir -p /etc/containerd sudo containerd config default | sudo tee /etc/containerd/config.toml sudo sed -i 's/SystemdCgroup = false/SystemdCgroup = true/' /etc/containerd/config.toml sudo systemctl restart containerd && sudo systemctl enable containerd
5. kubeadm · kubelet · kubectl install
# ① 키 보관 디렉터리 생성 sudo install -m 0755 -d /etc/apt/keyrings # ② 커뮤니티 저장소용 GPG 키 내려받아 dearmor curl -fsSL https://pkgs.k8s.io/core:/stable:/v1.33/deb/Release.key | sudo gpg --dearmor -o /etc/apt/keyrings/kubernetes-archive-keyring.gpg sudo chmod go+r /etc/apt/keyrings/kubernetes-archive-keyring.gpg # ③ APT 저장소 정의 echo "deb [signed-by=/etc/apt/keyrings/kubernetes-archive-keyring.gpg] \ https://pkgs.k8s.io/core:/stable:/v1.33/deb/ /" | \ sudo tee /etc/apt/sources.list.d/kubernetes.list sudo apt-get update # (가장 간단) 최신 패치 수준 설치 sudo apt-get install -y kubelet kubeadm kubectl # (지정 버전이 필요할 때) 먼저 버전을 확인하고 설치 apt-cache madison kubelet | head # 1.33.1-1.1 같은 형식 확인 sudo apt-get install -y kubelet=1.33.1-1.1 kubeadm=1.33.1-1.1 kubectl=1.33.1-1.1
6. Version Hold
sudo apt-mark hold kubelet kubeadm kubectl
7. Cluster Join
# control plane node sudo kubeadm token create --print-join-command
이 명령어는 control plane node에서 진행해주셔야 합니다. 클러스터로 가입할 키를 발급하는 명령어입니다. 그럼 위 결과로 kubeadm join <IP>:<port> —token :~ 와 같은 형태가 나타나게 되구요. 잘 복사해주세요.
# worker node sudo kubeadm join ~~~ sudo systemctl restart kubelet
워커 노드에서 복사한 구문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8. Confirm Node
kubectl get nodes -o wide
control plane node에서 이렇게 확인해보시면 클러스터로 추가된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k8s) Core Dns란? (2) 2025.06.25 쿠버네티스(k8s) 온프레미스 환경으로 설치하기 (0) 2025.06.04 [AWS EC2] Mongo DB 설치 (0) 2024.05.15 [Server]WebtoB REVERSE_PROXY 사용 (0) 2023.12.14 [Server]TmaxSoft WebtoB 웹서버 http.m 설정 (0) 2023.12.14